Crossboundaries의 Infitity 6 Pop-up Campus Installation
크로스바운더리의 최근 설치는 12개의 해상 컨테이너로 이루어졌으며, 여러분이 그 원리를 경험하고 상상할 수 있는 미래 학교의 명언을 재미있게 유도하는 것으로 상상되고 있습니다. 이 설치는 2019년 심천-홍콩 비엔날레 단체전의 일부이며, 미래 학교를 위한 잠재적 모델과 교육 건물 영역에서 사전 제작 및 모듈화 가능성을 주제로 한다. 단체 전시회는 주최측이 제공하는 표준 해상 컨테이너 모듈을 활용하는 총 5개의 설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INFINITY 6"으로 명명된 교차 경계는 18x18m 부지에 위치한 상호 잠금식 "X" 모양을 사용합니다. "X" 모양은 다양한 크기와 분위기의 플라자를 만들어내며, 어느 쪽에서 접근하든 전체 구조가 개방되어 환영받습니다. 이 아이디어는 학교가 벽을 넘어 개방적이고 상호작용적인 공간이 되는 미래에 대한 우리의 비전을 통해 파문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교육이 더 이상 특정 연령, 장소 또는 선형 교육 프로그램에 국한되지 않고 평생의 여정이 되고 있는 세상에서, 학교의 개념은 더 유연하고 즉흥적이며 협력적인 사고방식을 포함하도록 또한 변화되어야 합니다. "INFINITY 6"은 이 미래 학교 비전을 보여주는 작은 데모입니다. 이것은 기존의 도시에 더 많이 증식하고, 더하고, 연결할 수 있는 사상의 구조적인 시작입니다. 이 비전을 요약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원칙을 통해 표현하려고 했습니다.
1. 학교는 학생들과 교사들뿐만 아니라 전체 공동체를 참여시키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심지이자 중심지여야 한다.
2. 학교는 아이들에게 공간적 경험의 풍부함을 제공해야 하며, 공간적 맥락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간에서 어떤 활동이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도 내외부의 분리를 흐리게 해야 합니다. 교실은 학교 마당이나 복도나 도시에 쏟아질 수 있고 자연은 안으로 들어올 수 있습니다.
3. 집회의 해독제로 사적 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개성을 허용하고 깊은 사고를 장려하는 차분하고 고립된 장소인 은둔자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4. 학교 외관과 실내의 감각 팔레트에 질감과 색감을 더하는 작은 노력도 아이들의 절제되지 않은 상상력과 결합하면 일상 학습 경험을 크게 확대하고 풍부하게 할 수 있습니다.
5. 건물 전면부에 널찍한 개구부는 학교 내면의 세계를 엿볼 수 있고 도시의 흥미로운 경관을 액자에 넣음으로써 학교를 주변 환경과 통합시킬 수 있습니다. 창문은 강의실 밖에서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동적 방식에 참여하는 작은 읽기 틈새로 변함으로써 역할을 더욱 확대할 수 있습니다.
6. 마지막으로, 학교는 상호작용을 장려하고, 미래에 필요한 기술의 예측 불가능성을 수용하며, 지속적인 적응과 변화의 개념으로 번영하는 스마트하고 진화하는 공간으로 생각되어야 합니다.Infitity 6의 모든 원칙은 교차 경계에 의한 캠퍼스 설치입니다.
크로스바운더리의 최근 설치는 12개의 선적 컨테이너로 이루어졌으며, 여러분이 그 원리를 경험하고 상상할 수 있는 미래 학교의 명언을 재미있게 유도하는 것으로 상상되고 있습니다. 이 설치는 2019년 심천-홍콩 비엔날레 단체전의 일부이며, 미래 학교를 위한 잠재적 모델과 교육 건물 영역에서 사전 제작 및 모듈화 가능성을 주제로 한다. 단체 전시회는 주최측이 제공하는 표준 배송 컨테이너 모듈을 활용하는 총 5개의 설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INFINITY 6"으로 명명된 교차 경계는 18x18m 부지에 위치한 상호 잠금식 "X" 모양을 사용합니다. "X" 모양은 다양한 크기와 분위기의 플라자를 만들어내며, 어느 쪽에서 접근하든 전체 구조가 개방되어 환영받습니다. 이 아이디어는 학교가 벽을 넘어 개방적이고 상호작용적인 공간이 되는 미래에 대한 우리의 비전을 통해 파문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교육이 더 이상 특정 연령, 장소 또는 선형 교육 프로그램에 국한되지 않고 평생의 여정이 되고 있는 세상에서, 학교의 개념은 더 유연하고 즉흥적이며 협력적인 사고방식을 포함하도록 또한 변화되어야 합니다. "INFINITY 6"은 이 미래 학교 비전을 보여주는 작은 데모입니다. 이것은 기존의 도시에 더 많이 증식하고, 더하고, 연결할 수 있는 사상의 구조적인 시작입니다. 이 비전을 요약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원칙을 통해 표현하려고 했습니다.
1. 학교는 학생들과 교사들뿐만 아니라 전체 공동체를 참여시키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심지이자 중심지여야 한다.
2. 학교는 아이들에게 공간적 경험의 풍부함을 제공해야 하며, 공간적 맥락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간에서 어떤 활동이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도 내외부의 분리를 흐리게 해야 합니다.
Infitity 6 Pop-up Campus Installation by Crossboundaries
Crossboundaries’ latest installation is made out of 12 shipping containers and is imagined as a fun inducing manifesto of future schools, where you can experience and imagine little glimpses of its principles. The installation is a part of the group exhibition for 2019 Shenzhen-Hong Kong Biennale themed around potential models for future schools and the possibilities of prefabrication and modularization in the realm of educational buildings. The group exhibition contains five installations in total, all utilizing the standard shipping container module provided by the organizers.
Dubbed “INFINITY 6”, Crossboundaries’ installation takes an interlocked “X” shape, positioned on a 18x18m site. The “X” shape creates plazas of different sizes and moods and the whole structure is open and welcoming no matter which side you approach it from. This idea ripples through our vision of future where school extends beyond its walls and becomes an open, interactive space. In the world in which education is becoming a lifelong journey, no longer limited to certain age, place or linear teaching programs, the notion of school should transform as well, to include more flexible, improvisational and collaborative mindset. “INFINITY 6” is a small demo of this future school vision; it’s an infrastructural beginning of a thought that can be further multiplied, added on and plugged into the existing cities. To summarize this vision, we tried to express it through six principles:
1. School should be a shared place of gathering, a hub and an incubator of social interaction that engages not only students and teachers but entire community.
2. The school should provide a richness in spatial experiences for children, blurring the separa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not only in context of space but also in terms of what kind of activities occur in these spaces. Classroom can spill out in the school yard or hallway or city and nature can be brought inside.
3. Providing a private space as an antidote to gathering is essential in offering a recluse, a place of calm and isolation that allows for individuality and encourages deep thinking.
4. Even a small effort in adding texture and color to the sensory palette of school exterior and interior, combined with kids’ unrestrained imagination can significantly expand and enrich the daily learning experiences.
5. Generous openings on the building façade can integrate the school with its surroundings by providing the glimpses into the school’s inner world and framing the interesting views of the city. The windows can extend their role further by becoming small reading niches that participate in the new dynamic way the learning can occur outside the classroom.
6. Finally, the school should be conceived as a smart, evolving space that encourages interactivity, embraces unpredictability of skills that future will require and thrives on the notion of constant adaptation and change.All the principles are embedded in the installation as small demos or previews; the four little plazas generated by the juxtaposition of the “X” shape on the square site, flanked with pairs of facades that resemble the pages of an open book, serve to demonstrate gathering, private space, inside-outside spatial play and adding texture and color principle. This is achieved by differentiating the plazas in scale and materiality and by adding playful elements that support each function. Gathering plaza features the “hang out stairs”, private plaza is more enclosed, in-and-out principle is represented with a small porch that extends to a more open play and texture is added on the sport plaza. The building itself demonstrates the generous openings and semi-open corridors and features an exhibition of some of our tested school projects that further elaborates all the ways in which the schools of the future can become ‘smart’. This school doesn’t imply conventional classroom as its measure word and a designated place of learning. Instead, it offers an entire learning landscape that spills out to the hallways, stairs, yards and ultimately the entire city.
Another, seemingly opposing trend that this installation tries to tackle concerns modularization and prefabrication as a building method – a trend that has taken off in China last several years to keep up with the growing demand. Can a school be made out of modules and result in highly unique and inspiring spaces? This is the question that we grappled with in some of our recent school projects and that we aim to insist on moving forward, ensuring that the progressive teaching methods that encourage customized learning can go hand in hand with the time-saving, mass-produced modular building systems that are becoming increasingly attractive for investors.
“INFINITY 6” is a reminder that our mission as educational spaces designers constantly broadens: it should always echo the ways of the future learning and imply the active participation in cross-disciplinary conversations and trends that influence the future of schools.
“INFINITY 6” is on display from 21st of December 2019 to 21st of March 2020.
Architects: Crossboundaries
Design Team: Simic Marijana, Cui Cynthia, Jinghui Hou, Hongyi Hao, Yang Gao
Photographs: Yu Bai
source : retaildesignblog
'인테리어(Interi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하이 물과 고래 테마를 활용한 사무실 [THE AGILE WHALE] Antonio Berton (0) | 2020.04.26 |
---|---|
리에스탈 우아한 뷔틀러 여성 패션 브랜드 [Bütler Fashion] HEIKAUS AG (0) | 2020.04.25 |
뉴욕 월넛 목재로 살린 일식집 [Rule of Thirds] Nēowe (0) | 2020.04.23 |
터키 보석 같은 부티크 초콜릿 매장 디자인 [Lisette shop] Nēowe (0) | 2020.04.22 |
BANTEN 스마트 소호사무실 인테리어 [Upper West] Metaphor Interior Architecture (0) | 2020.04.21 |
댓글